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현상학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 감정, 세계와 자신에 관한 개인적 견해와 사적 개념을 연구하며, 이 중 로저스는 현상학적 심리학자의 한 사람으로 사람의 행동은 그 사람이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이번 장에는 로저스의 생애와 그의 이론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로저스, 로저스의 이론, 로저스의 현상학이론, 현상학이론

     

     

    1. 로저스의 생애

     

    로저스는 1902년 미국에서 태어나 1987년에 사망하였다. 그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철저한 종교적 입장을 취하던 부모로 인해 소년 시절을 엄격하고 비타협적인 종교적 규율의 분위기에서 보냈다. 대학에 입학한 후 중국에 머물게 된 기회가 있었는데 이때 많은 외국인들이 종교적·문화적으로 다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고 부모로부터의 연대를 벗어나야겠다고 생각한 계기가 되었다. 임상과 교육심리학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은 후 아동연구부에서 심리학 연구원으로 10년간 비행아동과 불우아동을 위해 치료활동을 하였다. 

     

    이후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심리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중간 상담소장의 일을 맡으며, 「내담자 중심 요법」의 책을 출간했다. 이후 교수직을 사임하고 서부행동과학연구소와 인간연구소에서 일하게 되었고, 그는 인간의 잠재력에 접근하는 심리요법과 상담요법을 고안, 실행한 성격연구의 혁신자이며 참만남운동의 개척자로서 활동하였다.

     

    2. 주요 개념

     

    행동이란 개인이 세계를 지각하고 해석한 직접적인 사건의 결과로 생기므로 인간의 행동을 잘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내적 준거틀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상학적 이론이 지니고 있는 주요 개념들에 대해 살펴보자.

     

    (1) 긍정적 지향의 경향성

    인간 유기체란 분화, 자기 책임감, 협동과 성숙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선천적 경향성을 지니며, 긍정적으로 향하는 경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인간은 합목적적이며 건설적이고 현실적 존재로서 어떤 힘에 의해 이끌려 가는 피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미래의 목적과 자기 지시적인 목적의 방향으로 에너지를 지향시킬 수 있는 활동적인 존재로 보았다.

     

    (2) 자아실현의 경향성

    자아실현 경향성이란 인간은 선천적으로 자신을 유지하고 향상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을 뜻한다. 자아실현은 더욱 능력 있는 사람이 되는 과정으로, 모든 사람은 생존해 있기 때문에 선천적으로 동기화되며 근본적으로 활동적이고 자아실현적이라고 말한다. 

     

    인간의 근본적인 생물학적·심리적 잠재력은 사람마다 동일하지 않으며, 각자는 잠재력을 실현하는 체험과 잠재력을 실현하지 못하는 체험 간 구분을 가능하게 하는 타고난 신체적 지혜가 있고, 이를 '유기체적 평가과정'이라 한다. 인간은 자기를 유지하고 향상하는 것으로 지각된 경험을 더욱 추구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개인은 긍정적 경험으로부터 만족감을 얻지만, 자아보존이나 자기 향상을 부정하거나 반대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험은 부정적으로 평가해 이를 피한다.

     

    (3) 주관적 경험과 행동

    로저스의 현상학적 이론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가 경험과 행동 간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로저스는 인간이 사건을 대하는 인식에 따라서 행동하였고, 인간의 행위를 지배하는 것은 자극 상황에 관한 주관적인 해석과 그에 대한 개인적 의미에 근거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인간의 행동을 이해할 때에는 과거보다 현재 처해 있는 환경과 관계성을 파악해야 한다. 즉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과거의 경험이 아니라 과거 경험에 관한 현재의 해석인 것으로, 이때 인간의 행동이나 성격은 '현재-미래'의 틀 속에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4) 긍정적 관심에 대한 욕구

    모든 인간은 중요한 사람으로부터 따뜻함, 존경, 사랑, 수용을 얻고 싶은 기본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부모가 자녀에게 '말 잘 듣는 아이'처럼 행동해야 사랑과 애정을 받을 수 있다는 것 보이면, 그 아이는 자신의 유기체적 평가과정에 따라 하기보다 부모의 '말 잘 듣는 아이'라는 이미지에 따라 자신을 평가한다. 따라서 아동은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관심을 얻기 위해 자신이 경험한 어떤 가치를 부정하고 타인이 생각하는 가치에 따라 그 경험을 지각한다.

     

    이는 어린 시절에 자연스럽게 발달하며, 어린 시절의 긍정적인 관심에 관한 강한 욕구는 중요한 사람들이 자기에 대해 가지는 기대화 태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 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이 사람의 가치부여과정을 지배하게 될 때 그 사람은 자신의 잠재력과의 접촉을 상실하며 자기 소외를 경험한다. 인간이 성숙하기 위해서는 자아와 경험 사이의 부조화를 피하고, 자기 경험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자아를 이룩하여 스스로 자기 행동의 통제자로 통일된 유기체적 평가과정을 회복해야 한다. 

     

    (5)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로저스는 무조건정 긍정적 관심이 건강한 성격 발달을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이는 어떤 개인을 조건 없이 있는 그대로 그 사람을 수용하거나 존경하는 것을 의미하며, 어떤 경우에서든지 주어지는 완전하고 진실된 사랑과 존중을 의미한다. 이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때 아이가 그 존재 자체로서, 귀중한 한 인간으로 평가받고 사랑받고 있다는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가 부모로부터 한 인간으로 존중받는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을 받을 때, 그 아이는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판단하며 자신의 욕구와 자아개념에 따라 행동하므로 최대한으로 성장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