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인지발달이론은 발달단계에서 아동의 의식적 사고를 강조하고, 능동적 역할을 중시한다. 이때 아동은 환경 적응에 능동적이고, 스스로 사고해서 정보를 처리하고, 적극적이고 주도적 역할을 한다고 본다. 이 이론에서는 발달을 유기체와 환경 간 상호작용으로 보기에 상호작용적 모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해당 장에서는 인지발달이론 중에서도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조작기, 형식적조작기

     

    1.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는 아동이 경험을 조직화하는 도식(스키마)을 사용하여 세상을 이해한다고 하였는데, 이때 도식은 관련된 사건이나 물건 혹은 지식의 사고적 분류이자 유기체가 외부의 사물을 인지하고 대응하는 데 사용하는 지각의 틀 혹은 반응의 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보기, 쥐기, 때리기, 차기와 같이 외부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인간이 반복하는 행동과 경험을 말한다. 

     

    2. 인지발달이론의 단계

     

     

    (1) 감각운동기 : 출생 ~ 2세

    감각운동기는 유아가 외부세계에 대처하기 위해 빨기, 쥐기, 때리기와 같은 신체적  행동양식을 조직화하는데, 이때 행동양식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감각운동에 기초하여 행동한다. 이 시기를 6단계로 구분한다.

     

    1단계(출생~1개월) : 반사작용

    - 이 시기의 도식은 '빨기'이다. 아기는 젖꼭지, 손가락, 옷, 담요와 같이 입에 닿는 모든 것을 빨며, 이처럼 모든 대상을 빨기 도식에 동화시킨다.

    2단계(1~4개월) : 1차 순환반응

    - 우연히 손가락을 빨게 된 경험을 반복하기 위해 손가락을 입에 집어넣으려는 것과 같이 처음에는 잘 되지 않지만 결국 시행착오를 거쳐 성공하게 되어 '잡아당기기'와 '빨기'를 배운다. 1차 순환반응을 통해 '보기'와 '잡기'도 연합하여 대상물을 보고 붙잡고 그것을 잡아당겨 입으로 가져오기도 한다. 이처럼 우연히 새로운 경험을 하고, 이 경험을 위해 행동을 반복하는 과정을 순환반응이라 한다. 

    - 예) 손가락을 빨다가 손가락이 멀어지면 다시 입으로 가져가 빠는 행동을 보이고, 이는 대상물을 보고 붙잡으며, 그것을 잡아당겨 입으로 가져온다.

    3단계(4~8개월) : 2차 순환반응

    - 2차 순환반응단계에서는 외부에서 흥미로운 사건을 발견하여 반복하는 단계로, 이전 단계에서는 자신의 행동에 몰두하느라 타인이나 환경의 존재를 알지 못하지만,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행동이 외부에 미치는 영향고 결과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사회적, 인지적으로도 외향적인 특성을 가진다. 즉, 자신의 힘으로 타인이나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흥미를 가진다.

    - 예) 우연히 손으로 유모차 옆에 붙은 막대기를 건드려 움직이는 것을 보고 흥미를 느끼며 반복한다.

    4단계(8~12개월) : 2차 도식의 협응

    - 이 시기의 유아는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수단으로 다른 도식을 활용한다. 이때 아동은 모방행동을 많이 하여 타인의 얼굴표정, 손, 몸짓까지 모방하며, '신호'를 이해하여 미리 사태를 예견할 수도 있다. 

    - 예) 엄마가 문쪽으로 걸어가면 밖으로 나간다는 것을 알고 이에 따른 반응을 보인다. 또 다른 예로 엄마가 젖병을 들고 부엌으로 가면 우유를 줄 것이라 기대하며 기다린다.

    5단계(12~18개월) : 3차 순환반응

    - 이 시기의 유아는 새로운 대상을 발견하면 탐색하고, 다른 행동양식을 적용하며 그 대상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려고 한다. 

    이 단계에서는 아동의 선천적 호기심에 의해 가능한 시기로, 흥미로운 것을 발견하고 다른 반응을 보려고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3차 순환반응이라 한다. 3단계(2차 순환반응)에서는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한 가지 행동을 했지만, 5단계에서는 다른 결과를 관찰하기 위해 다른 행동을 시도하는 것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 예) 수도꼭지에 손을 대고 물이 퍼지는 장난을 할 때도 각도를 달리하여 여러 방향으로 퍼지게끔 시도해 본다. 

    6단계(18개월~2세) : 사고 시작

    - 이 시기의 유아는 직접 행동하지 않고서도 상상하거나 생각함으로써 시험해 본다. 이 행동은 이전에 관찰했던 행동을 모방하는 것으로 관찰 직후 모방하지 않고 시간이 지난 후 적절한 시기에 재생하는 지연모방이 가능해진다. 이때 이 시기의 성취 정도가 나머지 생애의 인지기능에 기초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 예) 상자 안에 든 구슬을 찾기 위해 방법을 상상하여 생각해 낸 후 상자를 열고 구슬을 꺼낸다.

     

    이때, 감각운동기 전체에 걸쳐 대상영속성 개념이 발달한다. 대상영속성은 어떤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졌을 때 소멸된 게 아니라 살아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대상영속성 개념은 경험을 통해 획득되며 보편적이고 일정한 순서를 통해 획득된다.

    - 1~2단계 :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지면 그 대상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잊어버린다.

    - 3단계 : 대상이 움직이는 대로 따라가면서 응시하며,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지면 찾으려고는 하지만 장애물이 생기면 치워서 찾아보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다.

    - 4단계 :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지면 장애물이 생겨도 치워서 찾아내는 단계로, 한번 찾아낸 장소는 심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5단계 :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졌을 때 이동에는 대처하지만, 보이지 않는 이동은 대처하지 못해 찾지 못한다.

    - 6단계 : 자신의 시각적·운동적 접촉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움직일 수 있는 외적 실체로 대상을 간주하여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져도 찾아낼 수 있는 단계이다.

     

    (2) 전조작기 : 2세~7세

    이 시기의 아동은 언어를 사용하고, 사물이나 사건을 기억하고 표현하는 게 가능하지만 조작능력에는 한계가 있어 변형된 경험을 논리적으로 환원시키지 못하고, 지각에 의한 간접적 경험으로 사물이나 사건을 이해한다. 이때 전조작기의 특성 및 그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보존 개념

    - 컵 2개에 같은 양의 물을 붓고 보여준 뒤, 한 컴의 물을 다른 긴 컵에 부으면 그 양이 달라져 긴 컵의 물이 많다고 생각한다. 동일성, 보상, 역조작 개념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유목화

    - 18개의 갈색 구슬과 2개의 흰색 구슬을 모두 나무 구슬이라 하고, 갈색 구슬과 나무 구슬 중 뭐가 더 많은지 확인하면 갈색구슬이 많다고 대답하는 것처럼, 갈색 구슬이 나무 구슬의 하위 유목임을 인지하지 못한다.

    자아중심성 

    - 이 시기의 아동은 자아중심적이어서 타인이 본인의 관점과 같다고 생각하여 행동한다. 이는 주로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극복된다.

    상징놀이

    - 상징놀이는 감각운동기 6단계에서 나타나, 전 조작기에서 가장 많이 발달하며, 베개를 업고서는 아기라고 하는 것과 같다.

    물활론

    - 무생물인 사물에게도 생명이 있는 것처럼 믿는 것으로, 인형을 던지면 다쳐서 아프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4~6세에는 활동하는 모든 것에 생명을 부여하여 태양에도 눈과 코를 그려 넣고, 6세에는 움직이는 것에만 생명을 부여하여 움직이지 않는 꽃은 죽은 것이고 구름은 움직이니까 살아있다고 생각한다. 8세가 되면 동물과 식물에만 생명을 인정한다.

    도덕론

    - 이 시기의 아동은 행위의 의도보다 결과를 중요시한다. 엄마를 도우려다 컵 2개를 깬 행위와 장난치다 컵 1개를 깬 행위를 가지고 누가 더 잘못했냐 물으면 대부분 2개 깬 행위가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의도와 상관없이 결과적으로 더 많은 컵을 깬 아이가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것이다.

     

    (3) 구체적 조작기 : 7세~11세

    이 시기의 아이는 자신의 관점만이 유일한 관점이 아님을 깨닫게 되면서 자아중심성이 약해지고 논리적 사고가 발달한다.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종류의 문제해결 접근법을 선택한다. 또한 구체적 행위에 대해서만 체계적으로 사고하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만 인지획득을 하기에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사고가 부족하다.  

     

    보존 개념 획득

    - 보존 개념을 획득하여 동일성, 보상, 역조작성의 원리를 사용가능하다.

    탈중심성 

    -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자아중심성으로부터 벗어나, 언어의 발달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면서 더욱 활발해진다.

    자율적 도덕관

    - 아동은 10세 전후로 상호 간의 규칙이 동의하면 언제든 변화가능하다는 것을 안다. 이에 또래와 상호작용을 통해 협동을 위해 규칙이 자율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목화 인지

    - 전 조작기에서 불가능했던 유목화가 가능하여 동물과 식물이 생물보다 하위 유목임을 알 수 있게 된다.

     

    (4) 형식적 조작기 : 11세 이후

    구체적 조작기와 달리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추상적 사고와 추론을 통해 가설을 세워 검증할 수 있는 단계를 말한다. 결과에 미치는 변수를 고려하여 여러 가능성을 탐색하게 되면서 다양한 문제해결능력과 분석능력이 발달한다. 청소년들의 정교한 사고는 여러 사실을 바탕으로 적절한 결론을 만들어 내는 '연역적 추론'이 가능해진다.

    이 단계의 청소년들은 좀 더 원대한 문제인 미래, 사회의 본질 등에 대해 추상적 사고를 하고, 이상주의와 유토피아 같은 현재와 다른 사회를 상상하여 미래와 관념적인 세상의 변화를 기대한다. 이때는 자아중심성 때문에 현실적이지 못한 이념이나 독특한 종교에 심취할 수 있다. 

     

    반응형